|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2011;12(4): 30-33.
MAIN TOPIC REVIEWS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추적
(심리적 관점)

서울아산병원 심장검사실 간호사 윤 지 회
Ji-Hae Yun
Electrocardiogram / Arrhythmia Exam Unit, Asan Medical Center




서론

   삽입형 제세동기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실부정맥을 치료하 여 심실세동으로 인한 심장 돌연사를 예방할 수 있다. 삽입형 제세동기는 1980년 Dr. Levi Watkins에 의해 최초로 사람에게 삽입된 이래 치명적인 심실부정맥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며 부정맥 치료제에 대한 그 우월성이 여러 연구에 의해 증명되었다. 삽입형 제세동기는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두 가지의 치료방법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빈맥의 심박수보다 빠른 조율 자극으로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빈맥을 종료시키는 항빈맥 심박조율(antitachycardia Pacing - ATP)이고 두 번째는 보다 빠르고 불안정한 빈맥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쇼크(shock)라는 전기충격을 가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삽입형 제세동기의 주된 치료 방법으로 환자들에게 적지 않은 정신적, 심리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에 발표된 ADVANCE-D (Antitachycardia Pacing Delivery for Painless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Therapy), PainFREE Rx II 와 같은 연구에서도 보여주듯 의료진들은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환자에게 전기충격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빈맥 심박조율 치료 방법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조절과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삽입형 제세동기의 삽입과 치료를 위한 전기충격은 환자들의 정신적인 건강 상태와 삶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있다.

삽입형 제세동기의 삽입과 관련된 심리적인 영향

   시술 부위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좌측 쇄골하 부위를 선택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들의 정신적인 고통은 불안, 우울, 두려움, 분노와 더 나아가 정신적인 질환으로 나타난다. 이 중 38% 이상의1 환자들이 불안 증상, 22% 이상에서2 우울 증상이 나타나고, 일부 환자들에게는 정신적인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불안, 우울 수준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정신적인 고통의 원인으로는3 삽입형 제세동기의 기능 부전의 가능성, 전지 수명, 전기 충격 발생, 신체상의 변화와 불편함 등과 관련이 있다. 특히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 직후 환자들은 심한 정신적인 변화와 혼란을 호소하는데 여자가 남자보다4 더 높은 우울과 불안을 경험한다. Duru et al.의 연구 에서는 인공심박동기의 삽입 환자들도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환자들과 같은 비율의 정신적인 변화와 혼란을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는데5 이는 신체상의 변화가 환자들의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신적인 변화와 혼란은 이식 후 최초 1년 동안 지속적으로 경험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자들은 점차 제세동기의 이식을 받아 들이고 적응해 나간다.4,6,7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 등 젊은 환자들이 성인보다 불안과 우울 정도가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고8,9 이는 젊은 환자들의 보다 잦은 전기충격 치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50세 이하의 대상자들은 고령자들에 비해 삶의 질이 낮고, 대상환자들의 89%에서 수면장애가 있으며, 사회적 고립의 증가(44%), 제한된 신체적 활동(33%) 등을 동반한다.8,10

삽입형 제세동기의 전기충격 치료와 관련된 심리적인 영향

   삽입형 제세동기에 의한 전기충격은 환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정신적인 고통을2,11 야기한다. 이는 더욱이 전기충격의 횟수와도 연관이 있고, 많은 전기충격과 동시다발적 또는 예상치 못한 전기충격을 경험한 환자들에게 더 높은 정신적인 고통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4,12 전기충격을 경험한 환자들은 주로‘몸 안에서 무언가가 아주 센 힘으로 가슴을 후려치는 듯하고, 깜짝 놀라고 당황하며 심한 고통이 있다’라고 표현한다.1 전기충격의 전후 증상은 실신, 어지럼증, 메스꺼움, 가슴 두근거림 또는 답답함, 무증상 등이 있다. 이는 삽입형 제세동기의 적절한 치료 및 부적절한 치료에 따라 환자의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에 상관없이 전기충격은 놀람, 통증, 두려움, 불안,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13 이러한 전기충격에 대한 불안은 때로는 환상쇼크(phantom shock)라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환상쇼크는 실제 시행되지 않은 전기충격을 경험했다고 하는 것인데, Swygman et al. 연구에서 대상자의 6.7%가 환상쇼크를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다.14,15 반면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 시술 후 강한 불편함과 거부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전기충격은 삽입형 제세동기가 치명적인 심실부정맥으로부터 생명을 구하는 치료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환자들의 정신적인 중재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 후 환자들이 갖는 정신적인 변화는16 사회적인 위축을 초래하여 대인관계 회피, 직업 활동의 중단, 성적 활동 감소, 정신적 무기력 현상과 삶의 질 악화 등을 초래하게 된다. Samuel F Sears et al.의 연구에 의하면 적극적인 중재활동이나 교육이 환자들에게 전기충격 치료를 받아들이고 정신적인 불안을 완화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17 그는 삽입형 제세동기 의 전기충격과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ICD-SSMP-The ICD Shock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을 통한 정신적인 중재를 통해 환자들의 불안을 감소하고 삶의 질을 높인다고 보고하고 있다.18 환자 뿐 아니라 가족들이 갖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도 높게 나타나는데, Dr. Samuel Sears는 A. Garrett Hazeltonand et al와의 연구에서 가족 특히 배우자에게 있을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심리적 조정의 일반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19 시술 후 의료진의 교육을 통해 환자들은 불안과 걱정 등의 심리적인 문제를 표출하기도 하고 완화하기도 한다. 교육은 삽입형 제세동기의 역할, 시술 부위 관리, 운전, 전자기파 장애 등과 관련된 시술 후 주의사항, 전기충격이 있을 때의 증상과 대처방법, 사회로의 복귀, 임시카드 제공과 의료진의 연락처를 제공하는 등의 내용이다. 또한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환자들의 모임 주최와 홈페이지 운영 및 환자들간의 만남을 주선함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불안과 걱정을 서로 나누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심리적인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적응해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빈도가 잦고 동시다발적인 전 기충격을 경험한 환자들의 불안과 두려움은 정신적인 위기와 질환으로 나타나는데, 필요 시 정신과를 통한 상담과 치료가 필요하다.

결론

   AVID (Antiarrythmics Versus Implantable Defibrillators), CASH (The Cardiac Arrest Study Hamburg), CIDS (Canadian Implantable Defibrillator Study), MADIT-II (Analysis of mortality events in the multicenter automatic defibrillator implantation trial) 연구 등에서 보고 된 바와 같이 삽입형 제세동기는 항부정맥제와 비교하여 환자들의 유병률과 사망률 감소에 있어 우월한 결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식환자들의 75%가 심실부정맥과 급사를 예방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88%의 이식환자들이 그들의 생명과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치료라고 인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3 또한 의료진도 경험을 통하여서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의 중요성을 잘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 특히 22~38% 이상의 심각한 불안과 우울과 관계되는 정신적인 고통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일 것이다. 앞에서 거론되고 있는 연구들의 삶의 질 조사에서는 공통적으로 삽입형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들에게서 우월한 결과를 가지지 못하며 오히려 전기충격을 경험한 환자들의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20 환자들은 몸 안에 삽입된 삽입형 제세동기에 대해 부담을 가지면서도 또한 평생 의지하며 살아가야 한다. 시술 후 의료진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예상되는 정신적인 충격과 이에 따른 개인적, 사회적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나라도 서양과 같은 생활패턴에서 오는 많은 심장질환과 그와 관련한 심실부정맥과 심장돌연사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시술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환자들의 정신적 건강문제는 의학적인 문제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환자들의 삶의 질과 사회적인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의료진들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심리사회적인 안녕을 위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Christopher L. Soda DO, and J. Michael Bostwick, MD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s, Induced Anxiety, and Quality of Life, Mayo Clin Proc. 2005;80(2):232~237.
  2. H.C.M.Kamphuis, J.R.J.de Leeuw, R.Derksen, R.N.W.Hauer and J.A.M.Winnubst Implantable cardiover defibrillator recipients:quality of life recipients with and without ICD shock delivery, Europace 2003;5:381-389.
  3. 정가진, 삽입형 심실제세동기 이식 후 환자의 불안, 우울 수준 2005.10.
  4. Marshall P, Ketchell A, Maclean J.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psychological putcomes related to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COMFORTID), Eur J Cardiovasc Nurs. 2011.
  5. Duru F, Buchi S, Klaghofer R, Mattmann H, Sensky T, Buddeberg C, Candinas R. How different from pacemaker patients are recipients of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s with respect to psychosocial adaptation, affective disorders, and quality of life? Heart. 2001;85:375-379.
  6. Chevalier P, Verrier P, Kirkorian G, Touboul P, Cottraux J. Improved appraisal of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a psychometric study. Psychother Psychosom. 1996;65(1):49-56.
  7. Kamphuis HC, Verhoeven NW, Leeuw R, Derksen R, Hauer RN, Winnubst JA.. ICD: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 experience the first year after implantation. J Clin Nurs. 2004;13:1008-1016.
  8. Sears SF, Todaro JF, Urizar G, Lewis TS, Sirois B, Wallace R, Sotile W, Curtis AB, Conti JB. Assessing the psychosocial impact of the ICD: a national survey of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health care providers.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0;23(6):939-945.
  9. Sears SF Jr, Burns JL, Handberg E, Sotile WM, Conti JB. Young at Heart: Understanding the Unique Psychosocial Adjustment of Young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Recipients.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1;24(7):1113-1117.
  10. Vitale MB, Funk M. Quality of life in younger persons with a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Dimens Crit Care Nurs. 199514(2):100-111.
  11. Carroll DL, Hamilton GA. Quality of life in implanted cardioverter defibrillator recipients: the impact of a device shock. Heart Lung. 2005;34:169-178.
  12. Heller SS, Ormont MA, Lidagoster L, Sciacca RR, Steinberg S. Psychosocial Outcome after ICD Implantation: A Current Perspective.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8;21:1207-1215.
  13. Dougherty CM. Psychological reactions and family adjustment in shock versus no shock groups after implantation of internal cardioverter defibrillator. Heart Lung. 1995;24(4):281-291.
  14. Prudente LA. Phantom Shock in a Patient With a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Case Report. Am J Crit Care. 2003;12:144-146.
  15. Swygman CA, Link MS, Cliff DL, et al. Incidence of phantom shocks in patients with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Pacing Clin Electrophysiol. 1998;21:789-994.
  16. Pedersen SS, van den Broek KC, Sears SF Jr.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llowing Implantation of an Implantable Defibrillator : A Review and Future Recommendations,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7;30(12):1546-1554.
  17. Sears SF, Sowell LD, Kuhl EA, Kovacs AH, Serber ER, Handberg E, Kneipp SM, Zineh I, Conti JB. The ICD Shock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 A Randomized Trial of Psychosocial Treatment to Optimize Quality of Life in ICD Patients.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7;30(7):858-864.
  18. The ICD Shock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 Interview with Samuel F. Sears Jr.,PhD EP Digest sat 5/3/081
  19. Hazelton AG, Sears SF, Kirian K, Matchett M, Shea J. Cardiology Patient Page. Coping with my partner's ICD and cardiac disease. Circulation. 2009:120:e73-e76.
  20. Noyes K, Corona E, Zwanziger J, Hall WJ, Zhao H, Wang H, Moss AJ, Dick AW; Multicenter Automatic Defibrillator Implantation Trial II.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sequences of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Results From MADIT II\. Medical Care. 2007;45:377-385.